셀카 잘 찍는 법

 

인스타그램의 설립 목적은 스마트폰으로 바로 찍어 사진을 올려 공유하자는 것이었습니다.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술도 늘어났고, 사진을 공유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인스타그램 뿐 아니라 카카오톡 , 페이스북 등 어디든 다른 사람의 셀카를 볼 수도 있습니다.

히지만 셀카를 찍으면 이상하게  원래 얼굴보다 못나게 나오는 것처럼 보입니다.

반대로 어떤 사람들은 사진을 잘 찍어 원래 얼굴보다 잘생기게 나오죠.

 

이런 사람을 두고 셀기꾼(셀카+사기꾼)이라는 신조어가 있을 정도입니다.

오늘은 셀카를 잘 찍는 방법에 대하여 포스팅 해보고자 합니다. 아래에 따라 셀카를 잘 찍는 법을 적용해서 찍어보세요.

 

Martin Péchy 작품

 

1. 조명이 밝은 곳에서 찍습니다.

 

사진을 전문적으로 찍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사진을 찍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빛입니다.

충분한 빛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좋은 사진이 나오지 않죠.

 

컴퓨터 화면이나 텔레비전 대신 창문 근처 등 자연광이 들어오는 쪽에서 햇볕을 쬡니다.

 

 Max Schwoelk 작품

 

2. 그림자 피하기

 

얼굴에 그림자가 있으면 제대로 된 사진이 나올 수 없습니다.

태양을 직접 바라본 채로 사진을 한 번 찍어본 다음 다른 각도에서도 찍어보세요.

 

빛을 어떻게 사용하느냐는 사진 찍는 것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Andrea Piacquadio 작품

 

3. 미소를 지으세요.

 

미소를 짓는 모습은 나쁘게 보이지 않습니다.

거울 앞에서 자연스러운 미소를 지으며 연습해보세요.

눈만 미소를 띄어보거나 입만 웃어보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입니다.

 

Andrea Piacquadio 작품

 

4. 셀카를 많이 찍어보세요.

 

셀카를 잘 찍는 사람들은 올릴 사진을 찍을 때 한, 두 장만 찍지 않습니다.

몇 십장을 찍어보거나 몇 백장을 각도를 각각 조금씩 달리해서 찍어봅니다.

수많은 사진 중 내가 잘 나온 사진을 골라서 올리는 것이죠.

 

이렇게 많이 찍을 때 주의할 점은 초점이 흔들리지 않게 찍어야 하는 것입니다.

잘 나온 각도에서 초점이 흔들렸다면 사진이 흐려 아쉬울테니까요.

 

Hamann La 작품

 

5. 본인이 잘 받는 각도를 찾으세요.

 

셀카를 잘 찍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턱을 아래로 내리고 카메라를 위로 올려 찍으라고 합니다.

어떤 사람은 팔을 쭉 뻗어 스마트폰의 아래 면이 눈과 같은 라인에 오게 해서 카메라를 보고 찍으라고 합니다.

 

꼭 정면만이 아니라 살짝 측면으로 기울여 보기도 하고 본인에게 잘 받는 각도를 찾아보세요.

 

Evgenia Basyrova 작품

 

6.  필터를 잘 활용하세요.

 

사진을 찍었다면 후보정을 해주는 어플을 활용하세요.

간단하게는 인스타그램에서 업로드를 할 때 쓸 있는 필터부터, 각 핸드폰 마다 셀카 모드에 있는 필터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Julia M Cameron 작품

 

7. 모델처럼 생각하고 찍어보세요.

 

표정이 너무 밋밋하다면 내가 모델인 것 처럼 입술을 내밀기도 해보고

눈썹을 올리기도 하고 여러가지 모델 포즈를 지어보세요.

 

자신에게 맞는 표정이 나올때까지 연습하다보면 어느샌가 좋은 셀카가 나올거에요.

 

Anna Shvets 작품

 

8. 과도하게 편집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필터는 재미있을 수 있지만 지나치게 사용하지마세요.

원래의 얼굴이 가져다주는 아름다움을 해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셀카 사진을 찍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멋지게 셀카 사진을 찍어 다른 사람에게 나를 보여주도록 합시다.

 

 

'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야 약국 , 24시간 여는 약국 조회하는 방법  (0) 2020.11.27

 

카카오톡 채팅방 배경화면 바꾸기

 

스마트폰에서 이용하는 어플 중에서 아마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이 카카오톡일텐데요.

주로 개인 용도로 쓰지만 업무용으로도 쓰이고 있을 정도로

친숙해진 카카오톡은 그만큼 사용방법을 잘 알고 있으면 좋습니다.

 

오늘은 카카오톡 채팅방 배경화면을 바꾸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방법을 통해 전체 채팅방의 배경화면을 바꿀 수도 있고,

각 채팅방 별로 배경을 바꿀수도 있습니다.

 

각각의 채팅방 별로 색깔을 달리해서 중요한 채팅방을 설정할 수도 있겠죠.

 

전체 채팅방 배경화면 설정 방법

 

우선 카카오톡을 실행해준 다음,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을 클릭해줍니다.

 

설정을 눌렀다면 다시 전체 설정을 눌러서 설정하는 메뉴로 들어가줍니다.

 

이곳에 여러가지 설정화면이 있습니다.

여러가지의 메뉴 중 화면 설정으로 들어가줍니다.

 

화면 메뉴에서 가운데를 보면 현재 채팅방 배경화면이라고 있습니다.

색상을 선택해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이곳에서 배경화면을 바꿀 수 있는데요.

색상 배경은 단색 배경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눌러서 들어가봅니다.

 

 

원하는 색을 선택 후 채팅방을 접속해보면

위와같이 변경된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러스트 배경입니다.

일러스트 배경은 귀여운 그림 사진으로 설정하는 곳입니다.

위와 같이 변경 하면 이쁜 사진으로 변경이 됩니다.

 

만일 배경으로 원하는 사진이 있다면

앨범에서 사진 선택을 해서 설정해 주어도 됩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채팅방에 적용하기는 모든 채팅방에 적용시키고 싶을때만 눌러줍니다.

 

이렇게 하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각 채팅방 배경 설정 방법

각 채팅방 별로 배경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대화창으로 가서 설정해야 합니다. 배경을 적용할 채팅방을 눌러주세요.

 

이곳에서 우측 상단의 줄 세개 메뉴를 누르고

다시 오른쪽 아래 톱니바퀴 모양을 눌러줍니다.

 

설정메뉴 가운데에 현재 채팅방 배경화면 배경을 바꿀 수 있습니다.

바꾸는 방법의 경우 전체 채팅방 바꾸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이렇게 간단하지만 은근 복잡한

카카오톡 채팅방 배경화면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익한 정보였다면 아래 하트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24시간 약국 조회방법

 

직장이나 학교 생활을 하다보면 꼭 쉬는 날을 맞춰서 아프거나 밤늦게 아픈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아파도 병원이나 약국을 잘 가지 않고 참으려는 습성이 있어 밤늦게 증상이 심해져서 아픈 몸으로 힘겹게 버틴 경험이 많은데요.

약만이라도 먹었으면..하는 마음에 주변을 둘러봐도 딱히 없고 편의점을 가서 상비약을 먹어도 보았지만 약국에서 파는 약 만큼은 잘 듣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런 경우 24시간 여는 약국이나 심야에 여는 약국을 찾아가면 되지만, 막상 아플때에는 잘 생각이 안납니다.  

이럴 때 약국을 찾는 방법에 대하여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휴일지키미 약국과 응급의료포털(E-gen)

 

휴일지킴이약국(www.pharm114.or.kr/main.asp)각 지역별로 약국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egen/main.do)주변에 위치한 응급실, 열린 병원, 약국을 찾을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약국의 경우 생각보다 일찍 닫는 곳이 많습니다.

몸이 아픈데 지도에서 약국을 검색해서 하나하나 일일히 연락해 볼 수는 없겠죠.

이럴 때 휴일지킴이 사이트나 응급의료포털(E-Gen) 사이트를 통해 찾아보면 훨씬 그 시간을 단축해서 열린 약국에 갈 수 있습니다.

 

각 사이트별 약국찾는 방법

 

1. 휴일지킴이 약국

 

 

휴일지키미 사이트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뜹니다. 

가운데 달력 있는 부분을 봐주세요.

 

이곳에서 오늘날짜와 시간을 맞게 입력해주시고, 지역은 살고 있는 동네로 설정해줍니다.

저는 서울특별시 송파구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아래 검색을 눌러주세요.

 

검색을 눌러주시면 위와같은 화면과 함께 리스트가 쭉 뜹니다.

아까 시간을 입력해서 그 시간에 운영하는 약국만 뜬 것입니다.

 

우측에 지도보기 버튼을 누르면 지도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경험상 운영하는 약국이 항상 다 열려있던 것은 아니라서

우선은 적힌 약국 전화번호로 연락해서 열려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대략적인 위치 파악 후 약국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만일 동네에 운영하는 약국이 없다면 지역별로 조회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첫 페이지에서 상단에 지도검색을 눌러주시면 각 지역별로 선택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이곳에서 검색을 눌러주시면 다른 지역의 약국도 조회 할 수 있습니다.

급한데 열린 약국이 동네에 없다면 옆 동네에서라도 찾아갈 수 있습니다.

 

2. 응급의료포털

 

 

응급의료포털 메인 화면에 접속해줍니다.

가운에 보이는 병원·약국 찾기를 눌러줍니다.

 

 

위 메뉴에서 병원 찾기가 아니라 약국 찾기로 바꾸어줍니다.

바꾸어 주면 아래 지도가 뜹니다. 

 

지역을 선택하고, 우측에서 운영하는 약국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이 역시 약국 사정에 따라 운영시간이 다른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연락을 해서 운영하는지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위 두 사이트를 이용하면 24시간 운영하는 약국이나 심야에 운영하는 약국을 미리 알아놓을 수도 있습니다.

꼭 급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당장 마스크를 구매해야 하는 등의 의약외품이 필요로 할 때에도 위 사이트를 이용하셔서 도움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한글 쪽번호 매기기 방법

한글 문서를 작성하다보면 본문의 내용이 길어져서 페이지를 구분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문서의 양이 많아지면 내가 작성한 문서야 알아보기 쉽지만 다른 사람이 볼 때에는 순서를 구분해놓지 않으면 어디까지 읽었는지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 한글에서 지원하는 쪽번호 기능을 통해 번호를 매길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글문서 작성 시 문서의 쪽번호 매기기에 대한 간단한 팁을 소개하려 합니다. 

 

기본 쪽번호 만들기

 

한글을 먼저 실행해주세요!

 

한글을 실행하면 상단에 여러가지 메뉴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쪽이라고 적힌 메뉴를 눌러보면 위와 같은 메뉴로 바뀝니다.  이 중에 쪽 번호 매기기라고 적힌 부분을 눌러주세요.​

 

누르면 쪽 번호 매기기 창이 뜨며 어떻게 설정할지가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하단 중앙으로 설정을 많이 하는 편이며 숫자 외에 한글이나 알파벳으로 배치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한 번만 설정하면 전체 문서에 적용됩니다.

글을 쭉 작성해주시면 쪽번호는 자동으로 적용이 됩니다.

이미 작성된 문서라면 자동으로 번호는 매겨집니다.

 

조금 더 응용하면 어떻게될까요?

 

심화 쪽번호 만들기

 

조금 더 자세하게 설정하는 방법은 꼬릿말을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이 방법으로 다양한 쪽번호를 만들수 있습니다.

 

제가 예시로 알려드릴 것은 현재쪽과 전체쪽수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아까와 같이 쪽 메뉴를 누른다음, 꼬릿말을 눌러줍니다.

꼬릿말이란 문서 전체 하단에 적용이 되는 내용으로, 본문이 적힌다고 옮겨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오른쪽 쪽번호를 눌러줍니다.

 

다음으로 상용구 넣기 메뉴를 누른다음, 현재 쪽/전체 쪽수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적용이 됩니다.

 

쪽번호도 일반 글꼴과 같이 크기 조절도 가능하므로 글꼴 크기로 조절하시면 됩니다.

마무리가 되었다면 아까 상용구 넣기 오른쪽에 닫기 버튼을 눌러 주시면 꼬릿말 작성이 마무리됩니다.

 

이렇게 한글 쪽번호 매기는 방법에 대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유익하였다면 아래 하트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크롬 브라우저가 메인 웹브라우저를 차지한 이후 크롬 브라우저의 보안 기능 덕분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시절보다는 많이 바이러스 감염이 줄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익스플로러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PC가 꽤나 존재하고 심지어는 사후지원이 끝난 윈도우 xp나 vista를 쓰는 기업이나 단체들도 상당히 있습니다.

 

이전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던 시절에는 참 악성코드가 감염된 PC가 많았습니다. 어떤 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무심코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첨부파일 등의 어떤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되었을 때 문제가 되어 감염되는 경우가 많았죠. 요즈음은 그런 경우가 많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그래도 감염되는 사례가 있는 편입니다.

 

 

1.맬웨어? 악성코드?

 

악성코드의 유래는 Malicious Software 의 준말로 흔히 맬웨어(Malware)로 불리고 있으며 국내에선 악성코드라는 단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악성코드도 세분화하자면 바이러스, 백도어, 트로이목마 부터 시작하여 요즘 유행하는 랜섬웨어까지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PC에 해를 입히고 나의 정보가 유출될 수 있게 만드는 불편한 프로그램이죠.

 

악성코드는 감염 후 치료가 되어도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그렇기에 가장 좋은 것은 감염되지 않게 좋은 백신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하여 예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후약방문이라고, 보통은 감염되기 전까지는 잘 알지 못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백신에 대하여는 다음에 다뤄보기로 하고 오늘 이 포스팅에서는 이미 악성코드에 감염되었을 때 급한 불을 끌 수 있는  Malware Zero에 대하여 다뤄보고자 합니다.

 

또한 맬웨어제로(Malware Zero)는 모든 악성코드에 대하여는 치료할 수 있다고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혹은 치료가 된 경우에도 치료는 되었다하더라도 부팅영역이 날라가 부팅이 안되는 경우도 있으니 너무 감염이 심한 경우라면 포맷을 권장드립니다.

 

저의 경우 악성코드에 감염된 PC를 만지는 기회가 더러 있었는데 이 경우 모두 치료에는 매우 효과적 이었습니다. 시간이 오래 걸릴지언정이라도 말이죠.

 

 

2.Malware Zero

 

공식홈페이지  - https://malzero.xyz/

바이러스 제로 -  https://cafe.naver.com/malzero

 

맬웨어 제로(Malware Zero) 프로그램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비용이 없는 프리웨어입니다.

기존에 개발일을 하시던 분께서 회사를 나온 뒤 직접 혼자 만드신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고 성능 또한 좋기로 유명합니다.

 

프로그램 실행 시 PC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PC성능에 따라 분시간 이내 소요됩니다

또한 다른 모든 프로그램이 검사를 위해 종료되므로 중요한 작업을 하지 않을 때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치료방법

 


맬웨어 제로(malware zero) 공식홈페이지를 통하여 가운데 다운로드 버튼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받은 압축파일을 실행하여 C:\ 폴더에 풉니다.

C:\ 폴더에 푸는 이유는 윈도우 사용자 계정이 한글이나 특수문자가 있는 경우 프로그램이 실행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안전하게 C:\ 에 압축을 풀어줍니다.

 

 

압축을 풀면 위와같이 Malware Zero 폴더가 생성되며, malzero 폴더로 접속해줍니다.

 

 

 

​폴더내에 있는 start.bat 파일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줍니다.

 

 

 

malware zero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한동안 위 화면이 떠있으며 조금 기다리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위와 같은 창에서 예(Y) 클릭합니다. 검사를 시작한다는 메시지 알럿입니다.

윈도우 탐색기를 종료하여 검사해주는 것이 속도를 빠르게 검사할 수 있어 좋습니다.

예를 누르면 진단이 시작되며 아래 작업표시줄이 사라집니다.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앞서 설명드렸듯 다른 프로그램이 종료되므로 PC이용을 안할때 검사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도중 빨간색 화면이 된 경우 맬웨어가 발견되어 치료된 것이고, 계속 파란색 화면인 경우 별도로 발견된 것이 없는 경우입니다.

검사 및 치료가 모두 종료되면 위와같이 초록색 창과 함께 결과가 나오며 메모장으로 정리됩니다.

※ ​위 프로그램은 일주일 정도 지나면 새로운 버전 다운로드를 필요로 합니다.

치료하실 때에는 항상 새로운 버전을 받아서 설치하시어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치료된 항목에 대한 궁금증이 있거나 치료가 안되는 항목이 있다면 맬웨어 제로(malware zero) 공식홈페이지 이메일을 통해 문의하시거나, 위 링크에 적어드린 바이러스 제로 카페를 통해 제작자분 혹은 사용자분과 Q&A를 하실수 있습니다.

좋은 효과 보셨길 바라겠습니다.

 

'컴퓨터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쪽번호 매기기 및 수정 하는 방법 정리!  (0) 2020.11.26

+ Recent posts